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금리(이율)은 얼마?(가입 조건 및 혜택 등).
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,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.
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, 가입 혜택 및 중도해지 금리(이율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금리(이율)는 얼마?(가입 조건 및 혜택 등)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- [나이]
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*
*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- [개인소득]
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며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(단,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)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- [가구소득]
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
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형제·자매(미성년자)를 기준으로 판단 -
참고 : ‘21년 기준 중위소득 180%
가구원수기준 중위소득 180%(연)1인 가구39,481,1502인 가구66,702,5063인 가구86,053,3204인 가구105,327,8645인 가구124,359,2576인 가구143,177,8257인 가구161,939,477 - [금융소득종합과세]
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
출처:서민금융진흥원
청년도약계좌 가입 혜택
-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본인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
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(명칭 : 소득+우대금리)
-
참고 :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
개인소득 기준정부기여금지급한도매칭비율한도총급여 2,400만원↓
(종합소득 1,600만원↓)40만원6.0%2.4만원총급여 3,600만원↓
(종합소득 2,600만원↓)50만원4.6%2.3만원총급여 4,800만원↓
(종합소득 3,600만원↓)60만원3.7%2.2만원총급여 6,000만원↓
(종합소득 4,800만원↓)70만원3.0%2.1만원총급여 7,500만원↓
(종합소득 6,300만원↓)–––
출처:서민금융진흥원
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금리(이율)
중도해지금리
- 자유로우대적금 중도해지이자율 적용
경과기간 | 적용이자율/적용율 |
---|---|
3개월 미만 | 0.1 |
6개월 미만 | 중도해지 기준이자율 × 50% × 경과월수 ÷ 계약월수 |
9개월 미만 | 중도해지 기준이자율 × 60% × 경과월수 ÷ 계약월수 |
11개월 미만 | 중도해지 기준이자율 × 70% × 경과월수 ÷ 계약월수 |
11개월 이상 | 중도해지 기준이자율 × 80% × 경과월수 ÷ 계약월수 |
- 중도해지 기준이자율 : 가입일 당시 고시된 자유로우대적금 기본금리
중도해지이자율 : 소수 셋째자리까지 적용(소수 넷째자리에서 절사)
-중도해지 최저금리는 0.1% - 경과월수는 계약월수를 초과할 수 없음
출처:농협
타 은행 중도해지 금리(이율)는 은행별 홈페이지 참고
SC제일은행(24년1월 예정)
마치며
오늘 글은 여기까지입니다.
추천 글
ChatGPT 챗GPT 설치, 사용법 및 답변 끊김 해결법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